Surprise Me!

[자막뉴스] 1년 만에 반 토막 '쇼크'...집값 하락이 대세? / YTN

2022-10-21 458 Dailymotion

지난 2001년 입주한 6백여 가구 규모의 서울 마포구 염리동 아파트. <br /> <br />교통 여건이 우수해 전용 면적 84㎡가 지난해 9월 15억 4,500만 원에 거래됐는데, 최근 절반 가격인 8억 원에 팔렸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같은 평형대 전셋값 8억1천만 원보다 낮게 매매가 이뤄진 것입니다. <br /> <br />근처 중개업소들은 금리 인상과 거래 절벽 여파로 집값이 급락하는 추세이지만, 믿기 어려운 거래라고 주장합니다 <br /> <br />[인근 공인중개사 : 세입자가 샀다는데 그러면 세입자가 거래 신고 자체를 잘못했을 수 있습니다. (전세) 보증금 빼고 해서 샀다는 얘기도 있고요. 현실적으론 불가능한 금액입니다. 거래 자체는 잘 안 되는 편입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이 아파트 외에도 최근 30%에서 50% 가까이 급락한 수도권 아파트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이번 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보다 0.27% 떨어져 2012년 6월 이후 10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 5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로 매물이 급증한 이후 21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과 수도권, 지방 아파트 매매가와 전셋값도 시세 조사를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사상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인천과 경기, 세종, 대전, 대구, 서울의 낙폭이 상대적으로 컸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기조가 바뀌지 않는 한 당분간 집값 하락은 불가피하다고 전망합니다. <br /> <br />[김규정 /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 : 가파르게 금리가 오르면서 거래 절벽 속에 추가 가격 하락이 예상되기에 일부 급급매만 거래되며 낙폭이 확대되고 있습니다. 금리 인상이 마무리될 때까지는 이런 가격 하락이 불가피해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이처럼 집값이 급락하면서 깡통 전세 우려로 전세 수요가 줄어 전셋값도 당분간 하락세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02115000187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